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라우터의 내부 구조 / 리셋 / TFTP 전송
    클라우드 교육/네트워크 2022. 11. 24. 18:19

     

     

     

     

     

     

     

    라우터가 부팅되고,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는지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4개의 저장장치가 있는데, 각 각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한다. 

     

     

    ROM 

    기본적인 IOS를 갖고있다.

     

    RAM 

    장비 시작시에 Flash 에서 IOS 파일을 받고, NVRAM에서 Starting-conf를 받아 장비를 구동시킨다. 

     

    NVRAM

    장비의 Starting-config, config-register 가 저장되는데 아래의미를 갖고있다. 

     

     

     

    Flash

    IOS image 파일이 저장되어있다. 

     

     

    ※IOS 파일 : 라우터를 움직이는 운영체제

     

     

     

     

     

     

     

     

     

     

    기본적으로 이렇게 가동되어 RAM에서 라우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라우터를 끄게 되면 RAM에 기록된 데이터중 필요한 데이터는 NVRAM 에 저장하게 된다. 

     

     

     

     

     

     

     

     

     

     

     

     

     

    라우터 초기화 하는 방법

     

     

    현재 비밀번호를 몰라서 babo1 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할것이다.

     

    하기전에 아래처럼 register 번호로 접속할 것인데 

    0x2142 : 라우터 비밀번호 복구용 register 번호, NVRAM 안거치고 바로 RAM으로 감
    0x2102 : startup-config 를 확인해 존재시, 로딩해 부팅하고 없으면 User 모드로 부팅하게 된다. 

     

     

     

    명령어만 보면 이렇게 진행될것이다 

     

    재부팅

     

    ctrl + fn + delete
    confreg 0x2142
    boot

    erase startup-config
    conf t
    ena se babo1
    config-registrer 0x2102
    exit
    reload

     

     

     먼저 재부팅한다. 

    빨간색 처럼 #이 뜰때 

    Ctrl + fn + delete를 눌러 설정창으로 들어간다

    최소한의 명령어만 사용할  수 있는데, ? 를 쳐보면

    파란색 칸처럼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나온다. 

     

     

     

    confreg 0x2142

    boot

    위처럼 명령어를 쳐준다. 

     

     

     

     

    no

    en

    conf t

     

     

     

     

     

     

     

    ena se babo1

    config-register 0x2102

    exit

    reload

     

    이렇게 되면 비밀번호 복구가 끝나게 된다. 

     

     

     

     

     

    라우터 백업

     

     

    TFTP 라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할텐데

     

    TFTP란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간단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구현이 간단해 쉽게 쓰일수 있지만, ftp보다는 전송 능력이 떨어진다. 

     

     

     

     

     

     

     

    서버의 Services 에서 TFTP로 들어가보면 어떤 파일이 있는지 보인다. 

     

     

     

    다시 라우터 에서 

    do show flash

    해보면

    파일들이 보인다. 파일을 복사하ㅗ

     

     

     

     

     

    do show flash

    하면 아래 파란박스의 파일이 보인다. 복사해서 

    copy running-config tftp:

    로 치면 연결된 ip중 어디로 보낼지 입력하고

    파일명을 입력하면

    아래처럼 서버 pc의 TFTP에서 전송된것을 볼 수 있다. 

     

     

     

     

     

     

     

     

     

     

     

     

     

     

     

    '클라우드 교육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GRP  (0) 2022.11.25
    OSPF  (0) 2022.11.24
    ARP / 패킷 분석  (0) 2022.11.23
    cisco 서브넷 나누고 라우터 설정  (2) 2022.11.22
    암호화  (0) 2022.11.18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