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암호화
    클라우드 교육/네트워크 2022. 11. 18. 16:13

     

     

     

     

     

     

    대칭키 암호화 방식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송,수신자 둘다 대칭키를 가져야 하기때문에,

    대칭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키가 노출될 위험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나온 방법이 아래의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다. 

     

     

     

     

     

     

    공개키 암호화 방식

     

     

    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 ( 공개키 / 비밀키 ) 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공개키는 공유되고

    비밀키는 소유자만 갖고있다.

    서버로 부터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것이 목적이지만, 계산이 느리다. 

     

     

     

     

     

     

    SSH의 통신과정

     

     

     

     

     

     

     

     

     

     

     

     

     

     

     

     

     

     

    ssh 로그인

     

     

     

     

     

     

    1. 키만들기

     

     

     

     

    cmd에서 

     

    ssh-keygen

     

     

    이렇게 되면 만들어진다. 

     

    C:\Users\user\.ssh

     

     

    여기안에 보면

     

     

     

     

     

    이렇게 만들어져있는게 보인다. 

     

    id_rsa.pub을 메모장으로 켜고 

     

    개인마다 다른데 아래 조건은 필수이다. 

     

    띄어쓰기는 1개만.

    AAAA 로 시작한다. 

    빨간칸 다음을 지워버리기고 저장

     

     

     

     

    이렇게 남겨둔다

     

     

    리눅스의 root 디렉토리에서

     

    mkdir .ssh

    이렇게 .ssh 파일을 만들어준다. 

     

    cmd에서 .ssh 파일안으로 가서 

     

    C:\Users\user\.ssh>scp ./id_rsa.pub root@10.0.0.1:/root/.ssh

     

     

    id_rsa.pub 파일을 복사해 리눅스 .ssh 안으로 보내는것

     

    파일 복사하면 이렇게 보인다. 

     

    이렇게 있는게 보인다. 

     

     

     

     

    설정파일로 들어간다

    vi /etc/ssh/sshd_config

    그리고 

     

     

    38, 43주석제거

     

    47번줄을 보면, 키의 위치와 이름을 저렇게 해야 적용이 된다는것을 볼 수 있다. 

     

    65번 주석 처리

    저장 후 sshd를 새로 시작해주자. 

     

    systemctl restart sshd

     

    이름도 바꿔주자. 

    mv .ssh/id_rsa.pub .ssh/authorized_keys

     

     

     

    xshell에서 이렇게 이름 암호 지우고 Public key로 변경

     

     

    그리고 암호키를 찾아 등록해주면 완성이다. 

     

    만일 리눅스 to 리눅스 환경에서 구축할때는, 반드시 Private key 파일의 권한을 600으로 맞춰야한다!!

     

     

     

     

     

     

     

    '클라우드 교육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 / 패킷 분석  (0) 2022.11.23
    cisco 서브넷 나누고 라우터 설정  (2) 2022.11.22
    리눅스 서버로 메일 환경 설정  (0) 2022.11.16
    Linux 사용자, IP별 접근제한방법  (0) 2022.11.15
    DNS  (6) 2022.11.1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