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서버로 메일 환경 설정클라우드 교육/네트워크 2022. 11. 16. 14:39
Send mail / dovecot / thunderbird 를 사용할것이다.
설치하기
yum install sendmail sendmail-cf dovecot
설정파일 위치다
/etc/mail/
여기가서
vi /etc/mail/sendmail.mc
21번줄 14로 변경
52,53번줄 주석 제거
그리고 모든 ip에서 받겠다고 설정하기 위해 118번을 아래 두개 중 하나로 설정한다.
m4 /etc/mail/sendmail.mc > /etc/mail/sendmail.cf
아래는 빈줄이 두개로 되어있는데 하나의 줄만 남겨준다
도메인 이름 등록하는 89,91을 주석제거해준다.
그리고 저장
아래로 가서
vi /etc/mail/local-host-names
도메인 이름을 등록해준다.
저장
아래가서
vi /etc/mail/access
이렇게 하면 10.0.0 으로 시작되는 모든 ip를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makemap 명령어로 accss로 설정된 것을 sendmail이 인식할 수있도록 한다.
makemap hash /etc/mail/access< /etc/mail/access
전송에 사용할 사용자를 생성하기
xx
yy
예시로 이렇게 두개 만든다.
아래 그룹 mail에 xx,yy사용자 추가
vi /etc/group
그리고 sendmail 재부팅
systemctl start sendmail
이제 받는 메일을 설정해보자.
여기가서
vi /etc/dovecot/dovecot.conf
24, 30 주석제거
저장
dovecot 의 설정파일에 들어갈건데 아래 파일들만 설정하면 된다.
ls /etc/dovecot/conf.d/
먼저 인증 파일부터 설정해보자.
vi /etc/dovecot/conf.d/10-auth.conf
위처럼 변경
사서함 위치 지정을 위해 아래에서 25번주석제거
vi /etc/dovecot/conf.d/10-mail.conf
포트지정을 위해 19,40줄 주석 제거 해준다.
19 - imap
40 - pop
을 의미한다.
vi /etc/dovecot/conf.d/10-master.conf
ssl에서 8번줄을 no로 설정해준다.
vi /etc/dovecot/conf.d/10-ssl.conf
마지막으로 방화벽을 열면 설정이 끝난다.
25번은 보내는 포트이고 , 110,143은 받는 포트이다.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5/tc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10/tc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43/tcp firewall-cmd --reload firewall-cmd --list-all
썬더버드를 사용할건데 계정을 만들때 아래처럼 설정하면 된다. 만일 안된다면 hostname에 ip번호를 적어도 된다.
그리고 테스트 메일을 보내면
아래처럼 잘 도착했다.
'클라우드 교육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서브넷 나누고 라우터 설정 (2) 2022.11.22 암호화 (0) 2022.11.18 Linux 사용자, IP별 접근제한방법 (0) 2022.11.15 DNS (6) 2022.11.11 OSI 7계층 (0) 2022.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