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버네티스 모니터링클라우드 교육/kubernetes 2023. 1. 3. 14:22
k8s, helm 먼저설치해야 작업이 가능하다.
아래처럼 치면 helm에 엄청 많다.
helm search repo prometheus
아래처럼 입력하면 설치와 배포가 바로 가능하다.
helm install prometheus-community/kube-prometheus-stack --generate-name
배포가 되면 엄청 많이 뜨는데, loadbalance를 설정해줘야한다.
아래 serivce를 긁어둔다( kube-prometheus-stack-(****)-grafana )
kubectl edit <service>
아래처럼 변경해준다.
그리고 password를 알아내기위해
아래처럼 치면 현재 서비스된 grafana가 나온다
kubectl get services | grep grafana
윗부분을 복사해서
kubectl get <service name> -o jsonpath="{.data.admin-password}"|base64 --decode;echo
가린부분이 패스워드니 잘 긁어두자
그리고 접속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service로 ip를 확인한다.
로드밸런서가 pending 상태이기에 포트포워딩을 해줘야한다.
먼저 내부에서 접속되는지 확인하자.
위처럼 뜬거면 접속이 되는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ip를 확인하고 ,서비스와 포트는 기본설정이니 80:80으로 한다.
kubectl port-forward --address <master k8s주소> <service name> 80:80
위처럼 로드밸런싱을유지한 상태에서
pc에서 접속해보면
기본적인 id는 admin으로 하고 아까 검색한
로그인도 된다.
아래처럼 데이터 항목이 보여진다
'클라우드 교육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ctx/kubens 설치 (0) 2023.04.30 redis를 이용해 방명록 생성 (0) 2023.01.04 서비스를 외부로 노출하기 ( wordpress - mysql ) (0) 2023.01.02 테인트와 톨러레이션 (0) 2023.01.02 쿠버네티스 컨피그맵 / 시크릿 (0) 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