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인트와 톨러레이션클라우드 교육/kubernetes 2023. 1. 2. 11:46
테인트
Taint
노드가 pod 셋을 스케줄링하지않도록 노드에 설정하는것
설정하게 되면, 더이상 노드가 생성되지않는다
톨러레이션
Toleration
테인트가 설정된 노드에 pod를 올리기 위해 설정하는 값,
(pod의 spce에 지정해야함)
고로 테인트 노드에 특정 pod를 올리려면 톨러레이션을 설정해야한다.
이 원리로 두가지의 기능으로 특정 노드를 특수한 역할만 하도록 설정할 때 사용한다.
테인트 노드로 설정하는방법
kubectl taint nodes node1.labs.local taintskey=value1:NoSchedule
※ 테인트를 지우는 방법
kubectl taint nodes node1.labs.local taintskey=value1:NoSchedule-
확인해보면 taintskey가 설정되었다.
테스트 deployment를 만들어보면
node1을 제외한 2,3에만 pod들이 만들어졌다.
강제로 노드를 설정해도 taint의 권한이 더 크기때문에, pod에 배치되지 않는다.
아래처럼 수동으로 설정해서 만들어봐도
만들어지지않는다.
톨러레이션 설정으로 pod를 올리는 방법
deployment로 만들어서 실행해보면
node1에도 설정되어 만들어졌다.
'클라우드 교육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1) 2023.01.03 서비스를 외부로 노출하기 ( wordpress - mysql ) (0) 2023.01.02 쿠버네티스 컨피그맵 / 시크릿 (0) 2022.12.29 서비스 리소스 (6) 2022.12.28 워커노드 리소스 2 (0) 202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