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버네티스 컨피그맵 / 시크릿클라우드 교육/kubernetes 2022. 12. 29. 10:39
목차
컨피그맵 ( ConfigMap )
서비스의 설정정보, 구성파일, 포트 등 고유한 정보들을 파드에서 참조하게 하는 파일을 만들어 파드들을 직접 컨트롤 할 수 있게하는 API 오브젝트이다 .
간단히 말해 파드가 생성될때 기본값을 변경하는것이다.
기본적으로 pod를 생산하게 되면 매번 yaml 파일에 많은 환경변수를 입력해야한다.
Configmap을 이용하면 생산할 틀을 어느정도 마련해두면 pod를 생산할때 yaml 파일의 크기가 작아질것이다.
base configmap을 만들고
생산된
configmap만들지 않고도 env 항목으로 값을 전달할 수 있다.
mysql yaml 만들었다.
k exec pod/mysql-78bb947d54-nzvwg -it -- /bin/bash
이번엔 configmap으로 만들어서 확인해보자.
아래처럼 분리해서 configmap.yaml을 만들었다.
그리고 mysql.yaml
2 디렉토리안에 yaml 두개가 있는데 , 한꺼번에 실행시키고
접속해보면 설정파일이 고대로 존재한다.
시크릿 ( Secret )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secret 파일 만들어보기
두번째 실습
볼륨으로 하는방법
'클라우드 교육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를 외부로 노출하기 ( wordpress - mysql ) (0) 2023.01.02 테인트와 톨러레이션 (0) 2023.01.02 서비스 리소스 (6) 2022.12.28 워커노드 리소스 2 (0) 2022.12.27 워크로드 리소스 (0) 202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