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교육/리눅스
-
NFS클라우드 교육/리눅스 2022. 11. 17. 18:35
NFS ( Network File System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서버의 공간을 자신의 자원처럼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유 파일 폴더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들을 공유 폴더에 저장해 저장효율성이 증가된다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것들을 사용하기때문에 보안에 취약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때문에 속도가 느림 nfs 설치 공유 파일 폴더라서 2개의 서버가 필요하다 nfs-utils 설치 , 서버 두개에 다 설치한다. 공유할 폴더를 만들어준다 그 후 위의 폴더에 들어가서 아래 문구 입력하고 nfs 시작 ( 자신이 사용할 네트워크의 주소를 입력한다 ) /nfs-server 10.0.0.0/24(rw,no_root_squash,sync) exportfs -v 위의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아래처럼 서버가 공유된것을 확인할..
-
데이터 스토리지 ( NAS , DAS, SAN)클라우드 교육/리눅스 2022. 11. 3. 18:44
Storage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뜻한다. 방식으로 분류하여 대표적으로 DAS NAS SAN 으로 구분한다. DAS ( Direct Attached Storage ) 컴퓨터가 개발된 초기시절부터 존재했으며, 전용매체( 케이블 )로 직접 연결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외장하드 개념이라고 보면된다. 특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저렴하고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 원거리 설치가 불가하다 ※ 하드디스크 연결방식으로 크게 IDE / SATA / SCSI 가 있다. 그림으로 보면 가장 오래된 규격으로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한다. IDE 이후 속도와 연결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서버같은곳에 쓰여 고속으로 전송가능하다. 안정성이 아주 높지만, 가격이 비싸다. NAS ( Network Attached S..
-
리눅스 Process 관리클라우드 교육/리눅스 2022. 11. 3. 17:15
Process 하드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 혹은 소스 코드가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된 것이다. 크게 Fore ground / Background 로 나뉠수 있다. 정확하게 표현한 그림은 아니지만, 개념을 모르면 위의 그림으로 설명하면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다. Foreground는 명령이 실행되면 프로세스가 끝날때 까지 기다려야하지만 Background는 프로세스가 사용자가 작업하는 프로세스 뒤에서 작업하기때문에 다른 작업을 하며 사용할수 있다. 이런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Fore ground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종류로, Process가 끝날때까지 shell을 점유하기에, 다른 명령어가 먹히지 않는다. 하지만 interrupt가 가능해서, Ctrl + c 로 강제 종료하거나, Ctrl + z로 멈출수 ..
-
리눅스 패키지 & 설치 ( yum / Rpm / Source )클라우드 교육/리눅스 2022. 11. 2. 18:38
리눅스 패키지란 , 리눅스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들(실행 파일, 설정 파일, 라이브러리 등)이 담겨 있는 설치 파일 묶음을 말한다. 위의 그림에서 패키지는 소스 패키지와 바이너리 패키지로 구분되는데 소스 패키지는 컴파일과정을 거쳐 바이너리 파일로 변경해야 실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오류가 날 수도 있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패키지를 통해 설치를 도와주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yum / rpm / source 이 있다. yum ( Yellodog Updater Modified )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다운받을때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인터넷 사용이 필수라는 단점이 있지만, 패키지간의 의존성을 해결해주는 장점이 있다. 아래 그림으로 보면 이해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