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ckerfile클라우드 교육/docker 2022. 12. 9. 17:54
Docker file
이미지파일을 생성할때 사용할 명령어를 만드는 과정이다.
집에서 치킨만들때 레시피를 보고 남은 치킨은 냉동실에 넣어놨다가 전자렌지 돌리듯이
Dockerfile도 하나의 레시피라고 보면된다. 그리고 그것을 냉동실에 넣어두듯이 이미지로 저장하고,그것을 컨테이너로 만들어버린다.
몇가지 특징으로
무조건 Dockerfile 이라고 명시해야한다
코드 형태로 image를 제작할 수 있어서 몇번만들다보면 구조를 파악하기 쉽다.
필수는 아니나 Dockerfile 를 제작할 때에는 디렉토리 생성 후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해 사용할 것을 권장
이미지를 하나씩 만들어보자
WEB
밖이 지저분해지니 images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그걸로 실행하자
vi /images/Dockerfile
아래처럼 명령어를 생성하고
index.html파일은 만들고 싶은것으로 해준다.
docker build -t [이름]:[tag] .
쩜 잘못찍은거 아니다 저렇게 해야 된다.
입력하면
이미지가 올라와있다.
만들어진 이름으로 실행하며 포트를 주입해주고
docker run -itd -p 61111:8080 --name web1 ssangmm/test:web
ip와 포트로 접속하면 바로 들어가진다.
ftp
#Dockerfile
#user.sh
#ftp.txt
#chroot_list
#vsftpd.conf
이렇게 만들고 실행하면
docker build -t sangm/test:ftp .
이미지로 확인해보면 잘 올라와있다.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itd -p 20:20 -p 21:21 --name ftp1 sangmm/test:ftp
로그인이 된다!
DNS
vi /images/named.rfc1912.zones
vi /images/sangm.shop
vi /images/Dockerfile
이미지 올려주고
실행해보면 잘된다.
dns 확인하기 위해 ip를 맞춰주고
dns가 잘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우드 교육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백엔드 연결 (0) 2022.12.09 docker network / link (0) 2022.12.09 mysql / httpd 컨테이너 연동 (1) 2022.12.09 docker (0)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