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P 설정클라우드 교육/네트워크 2022. 11. 30. 09:37
STP
Spanning Tree Protocol
스위치의 루프 방지를 위해 사용한다.
목적지에 계속 도달하지 못하고 계속 네트워크를 돌아다닌다.
그래서 스위치의 특정 포트를 차단한다
1. 브리징 루프를 해결하기 위해 IEEE에서 정의한 표준프로토콜
2. 원리는 스위치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차단하여 프레임 전송처리를 못하게 하는 것.
Bridge ID
1. 64bit 체계로 Switch 구분하는 식별자
2. priority 16bit (기본값 32768( ox8000) + VLAN 1)
3. MAC Address 48bit
spanning -tree vlan 1 priority
하는방법 ( 3개 스위치 )
세개의 스위치중 대장 스위치( root bridge ) 를 선정
대장 스위치는 VLAN 의 MAC Address를 비교해서 가장 작은 주소를 대장 으로 선정한다.
그리고 나머지에서 또 작은 MAC Address를 비교해서 작은 숫자를 BACKUP로 한다.
나머지는 NON 으로 한다.
루트브릿지가 아닌 브릿지는 루트브릿지로 가는 최소 코스트값을 갖는 포트를 루트 포트로 지정한다
기냥 연결하면 자동적으로 Root Bridge와 Backup Bridge를 설정하고
Block Port가 생기게 된다.
아래
찾는방법 ( 3개짜리 )
먼저 이렇게 만든다
그리고 아래처럼 vlan 값을 기록
이렇게 일단해두고
비교해보면
이렇게 된다.
12시방향이 MAC Address가 더 작기때문에 DESIGNATED PORT는 이렇게 됨
이렇게 연결하면
BACKUP ROOT BRIDGE 라고 하고
NON ROOT BRIDGE 라고 한다
조금 기다리면 아래처럼 블록포트가 주황불이 된다.
확인은 Root Bridge에서
자신이 ROOT BRIDGE 라고 표기해준다.
그리고 자신이 연결된 포트가 DESIGNATED PORT 라고 알려준다.
BACKUP ROOT BRIDGE 로 가보면
NON ROOT BRIDGE
자신의 주소와 ROOT 포트와
BLOCK 된 포트를 알려준다.
찾는방법 ( 4개짜리 )
먼저 이렇게 만들어두고 VLAN 의 MAC Address의 값을 입력해둔다.
MAC Address 값을 비교해보면
일단 1시방향이 루트 브릿지가 된다
그러면 루트 브릿지와 연결된 두대중 작은 값이 BACKUP이 된다.
그리고 나머지는 자연스레 NON ROOT가 된다
이렇게 된다
그러면 Root와 가장 먼 Switch가 양쪽의 두대를 비교해서 작은쪽에 Root Port를 주고 큰쪽에 Block 처리하게 된다
아래처럼
수동변경 1
강제로 root와 Backup 값을 주는법
아래 명령어를 이용할건데
#spanning-tree vlan 1 root primary
##sp vl 1 ro pr
#spanning-tree vlan 1 root second
##sp vl 1 ro se
확인하는 명령어는
#do sh sp vl 1
11시 방향에
1시방향에
이렇게 입력하면 11시방향은 Root Bridge가 되고
1시방향은 Backup Bridge가 된다.
이렇게
수동변경 2
결국 지들이 root bridge를 설정하는 방법은 priority 값으로 비교하는건데 그걸 바꾸는거다
아래 명령어로 수동으로 바꾼다.
#sp vl 1 pr 4096
#sp vl 1 pr 81924096배수로 설정되기때문에 값을 넣으려면
4096 8192 12288 16384 20480 ... 으로 입력하면 된다.
아래 에서
11시 방향 아래 포트를 Block 처리 해보자.
기본 개념은 5시를 root, 1시를 second로 설정하면 당연히 11시방향 아래 포트가 block처리 될거다
5시방향에
sp vl 1 pr 4096
1시방향에
sp vl 1 pr 8192
이렇게 하면 아래처럼 변경된다.
'클라우드 교육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그룹정책 (0) 2022.12.01 VTP (0) 2022.11.30 DHCP 고급 구성 (0) 2022.11.29 L3 switch (1) 2022.11.29 Cisco switch (0) 202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