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 :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작명 : 숫자로 시작하는 작명 불가능 , 대소문자 구분, 공백 불가
예약 사용 불가 ( if, for, while, true, false...)
a = 10 b = 11 print (a,b) # 10 11 a,b = 11,13 print(a,b) # 11 13 a,b,c=40,'A',10.11 print(a,b,c) # 40 A 10.11 print(a+c) # 50.11 print(type(a),type(b),type(c)) # <class 'int'> <class 'str'> <class 'float'>
변환
정수 int()
실수 float()
문자 str()
''로 처리하게 되면 문자가 되어버린다.
a='10.0' print(type(a)) # <class 'str'>
문자 - 실수로 변경된 값이 나온다.
a='10.0' a=float(a) print(type(a)) # <class 'float'>
a,b = 10,10.0 print(type(a),type(b)) # <class 'int'> <class 'float'> a,b = str(a),str(b) print(type(a),type(b)) # <class 'str'> <class 'str'>
맞교환하는 방법
아래처럼 해버리는 a는 b가 되어버린다.
a,b=10,20 a=b print(a,b) # 20 20
c라는 공간을 만들어 a를 치환하고 다시 c로 반납해버린다.
a,b=10,20 c=a a=b b=c print(a,b) # 20 10
파이썬에서는 맞교환을 지원해주는데, 아래처럼 하면 맞교환이 된다.
a,b=10,20 a,b=b,a print(a,b) # 2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