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Process 관리클라우드 교육/리눅스 2022. 11. 3. 17:15
Process
하드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 혹은 소스 코드가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된 것이다.
크게
Fore ground / Background
로 나뉠수 있다.
정확하게 표현한 그림은 아니지만, 개념을 모르면 위의 그림으로 설명하면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다.
Foreground는 명령이 실행되면 프로세스가 끝날때 까지 기다려야하지만
Background는 프로세스가 사용자가 작업하는 프로세스 뒤에서 작업하기때문에 다른 작업을 하며 사용할수 있다.
이런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Fore ground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종류로, Process가 끝날때까지 shell을 점유하기에, 다른 명령어가 먹히지 않는다.
하지만 interrupt가 가능해서, Ctrl + c 로 강제 종료하거나, Ctrl + z로 멈출수 있다.
간단하게 ping test로 process작업을 반복해보자.
ls 명령어를 실행하려하면, 먹히지않고, 타이핑했다는 것만 결과창에 나타난다.
포그라운드 작업이므로 Ctrl + c 로 종료가 가능하다.
백그라운드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때 쓰는 명령어가
# fg %'process번호' 이다.
Back ground
Process가 실행되는 중에도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보통 명령어 뒤에 '&' 을 붙여 백그라운드로 실행한다.
중간에 ls 명령어로 결과값이 표시 되었지만, 작업에 계속 밀려나간다.
Ctrl + c로 종료가 되지않아, 포그라운드로 변경하는명령어를 입력하고,
Ctrl + c 로 강제종료 했다.
포그라운드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때 쓰는 명령어가
# bg %'process번호' 이다.
이방법 말고도, kill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데,
kill -l 을 하면, 여러가지 제어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것들만 알아보자.
프로세스 번호를 알아보는 방법은
# ps -ef
로 보게 되면
PID 로 나열된 것이 번호이다.
밑의 번호까지 내려가면, 74515가 ping test로 실행 된 번호인것을 알 수 있다.
#kill -9 74515
를 쳐보면
아래처럼 멈추게 된다.
'클라우드 교육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증서 (0) 2022.12.05 텔넷사용 (0) 2022.11.18 NFS (0) 2022.11.17 데이터 스토리지 ( NAS , DAS, SAN) (0) 2022.11.03 리눅스 패키지 & 설치 ( yum / Rpm / Source ) (0) 202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