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llamo 2022. 11. 17. 18:35

 

 

 

 

 

 

NFS ( Network File System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서버의 공간을 자신의 자원처럼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유 파일 폴더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들을 공유 폴더에 저장해 저장효율성이 증가된다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것들을 사용하기때문에 보안에 취약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때문에 속도가 느림

 

 

 

 

 

 

 

nfs 설치

 

 

공유 파일 폴더라서 2개의 서버가 필요하다

 

 

nfs-utils 설치 , 서버 두개에 다 설치한다. 

 

 

 

공유할 폴더를 만들어준다

 

그 후 

위의 폴더에 들어가서 아래 문구 입력하고 nfs 시작 ( 자신이 사용할 네트워크의 주소를 입력한다 )

/nfs-server        10.0.0.0/24(rw,no_root_squash,sync)

 

 

exportfs -v

위의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아래처럼 서버가 공유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서비스가 실행되었는지 알 수 있다. 

rpcinfo -p

 

 

 

 

방화벽 오픈 

firewall --permanent --add-service=nfs
firewall --permanent --add-service=mountd
firewall --permanent --add-service=rpc-bind
firewall --permanent --reload

 

 

 

서버 2

 

 

공유 폴더 생성

 

 

마운트 하기

 

 

 

 

 

마운트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이걸로 보면 아래처럼 나와있다

 

 

 

 

과정이 끝났으니 공유가 되는지 확인해보자. 

 

 

이렇게 만들면

1에서 확인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