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가 생기기 이전에는 무분별하게 IP가 낭비되곤 했다.
낭비되는 IP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Subnet mask라는 개념이 탄생되었다.
서브넷 마스크 규칙
2진수 32개로 구성
32개중 중간에 0이 나오면 끝까지 0이어야함
1 규칙에 의해 2진수 32개가 8개씩 나뉘어 각 자릿수를 대신하게 된다.
2진수가 십진수로 나뉘어 각 자릿수를 나타낸다.
2규칙에 의해 아래표 내의 숫자만 올수 있는데,
아래 표의 가장 위는 각 자리수의 크기를 나타낸다.
오른쪽은 그 값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나타낸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이렇게 0다음에는 . 이 나와도 1이 올수 없다.
이제 네트워크 갯수가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자.
위의 표는 마지막 자릿수로 나타냈지만, 자릿수가 앞당겨질수록, 뒷자리경우의 수까지 포함이기에 더 많은 대역이 생기게 된다.
IP : 10.0.0.0에
Subnet mask : 255.255.255.128
에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는
subnet mask가 255인 자리는 변동되지않는다.
그리고 128 > 네트워크가 2개를 의미한다.
마지막 자릿수를 네트워크 2개로 나뉘면
Network a : 10.0.0.0~10.0.0.127
Network b : 10.0.0.128~10.0.0.255
로 나타낸다.
하지만 IP가 10.0.0.0 이므로
Network a를 말한다.
그리고 첫번째자리는 network ID가 되고,
마지막 자리는 Direct Broadcast가 된다.
최종적으로
IP : 10.0.0.0에
Subnet mask : 255.255.255.128
Network a의 10.0.0.1~10.0.0.126이 된다.
예문 두개로 IP의 대역을 확인해보자.
Ex1)
IP : 192.158.35.176
Subnet mask : 255.255.255.252
해석
마지막 자리가 252 이므로 network는 64개로 쪼개진다.
빨간색 칸의 0~255를 64로 나눠서 176이 들어가는 영역을 찾으면 이 네트워크의 사용가능 대역이 나온다.
0~3 / 4~7 / 8~11 / 12~15 / ..... / 164~167 / 168~172 / 172~175 / 176~179 / .... / 252~255
이렇게 나뉘어 지면 176이 들어갈 대역은
192.158.35.176~192.158.35.179
영역이 된다.
첫자리와 마지막자리를 빼면 사용가능한 IP는
192.158.35.177~192.158.35.178
을 사용할 수있다.
Ex2)
IP : 192.158.35.176
Subnet mask : 255.255.128.0
해석
세번째 자리가 128이므로 network는 세번째 자리에서 2개로 쪼개진다.
빨간색칸의 0~255를 2로 나눠서 35가 들어가는 영역을 찾으면 네트워크의 사용가능 대역이 나오게 된다.
0~127 / 127~255
이렇게 나뉘어지면 35가 들어갈 대역은
192.158.0.(0~255) ~ 192.158.127.(0~255)
영역이 된다.
첫자리와 마지막자리를 빼면 사용가능 IP는
192.158.0.1 ~ 192.158.127.254
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